[JSP] 지시자의 종류 #145
page
taglib
include
page
jsp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contentType
확장자 , 문자 형식를 지정
브라우저에서 번역을 할 때 확장자를 보고 변환을 하는데 어떤 확장자인지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HTML : text/html
XML : text/xml
JSON : text/plain
또한 사용하는 어떤 문자 형식을 사용할건지 지정할 수 있다.
기본값은 ISO-8859-1이고 한글을 사용한다면 EUC-KR 또는 UTP-8 등으로 지정하면 된다.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html 파일 이며, UTP-8 로 출력하여 한글을 사용한다.
▶ import
자바 라이브러리, 사용자 정의 추가
자바에서 import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거나 다른 패키지를 불러올 때 사용된다.
JSP에서도 import의 역할은 같다. 중복 사용이 가능하다.
<%@ import="java.util.*,java.sql.*,com.sist.conn.*" %>
java.util 라이브러리 사용 + java.sql 라이브러리 사용 + java.sist.conn 패키지 사용
▶ errorPage
에러 시에 이동하는 파일을 지정한다.
만약 사이트에 오류가 났다면 사용자에게 오류 페이지를 지정하여 보여줄 수 있다.
<%@ page errorPage="에러시 보여줄 파일 지정"%>
▶ buffer
출력 메모리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taglib
java 에서 사용되는 변수선언, 제어문, 화면 이동, 날짜 변환 등을 태그로 제공한다.
자바의 if문을 그냥 사용한다면 <% %> 문을 몇 번씩 반복해야 하지만 태그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간단해진다.
taglib을 사용하지 않을 때 ↓
<%
if(조건문)
{
%>
HTML
<%
}
%>
taglib을 사용할 때 ↓
<c:if test="조건문">
HTML
</C:if>
include
include는 조립식 형태로 JSP안에 다른 JSP를 첨부하거나 HTML안에 다른 HTML을 포함할 때 사용된다. (<iframe>)
정적 include
우리가 사이트를 이용할 때 상단의 메뉴 바는 고정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고정되어 있는 정적인 부분은 include를 사용한다. 만약 include 를 사용하지 않으면 모든 페이지의 메뉴를 하나하나 바꿔야 한다.
<%@ include file="변경이 안되는 파일"%>
동적 include
<center>
<table border=1 width=900 height=700>
<tr>
<td colspan="2" height="100"><%@include file="header.jsp" %></td>
</tr>
<tr>
<td width=200 height="500"><%@include file="menu.jsp" %></td>
<td width=700 height="500"><%@include file="content.jsp" %></td>
</tr>
<tr>
<td colspan="2" height="100"><%@include file="footer.jsp" %></td>
</tr>
</tabl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