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17

[DB/오라클] 프로시저 사용법 (스프링 기반의 댓글 CURD 프로시져로 구현하기 실습)

1차 프로젝트에서 구현했던 댓글 기능을 -> 2차 프로젝트에선 프로시저를 이용해 만들어 보려고 한다. 인터넷 찾아보면서 하는데, 정보도 많이 없고 설명도 어려워서 나중을 대비하여 기록해두어야겠다. 댓글 테이블 생성 JEJU_BREPLY_1_2 no : 댓글 번호 cno : 게시물 번호 id : 유저 아이디 name : 유저 이름 msg : 댓글 내용 regdate : 댓글 생성날짜 CREATE TABLE "HR"."JEJU_BREPLY_1_2" ( "NO" NUMBER, "CNO" NUMBER, "ID" VARCHAR2(20 BYTE), "NAME" VARCHAR2(34 BYTE) CONSTRAINT "JBR_NAME_NN" NOT NULL ENABLE, "MSG" CLOB CONSTRAINT "JBR_..

Oracle 2022.09.30

[DB] 자바에서 오라클 DB 드라이버 연결하는 법 (MySQL)

자바 이클립스에서 DataBase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 MySQL에 대한 정보도 제공되지만 오라클을 베이스로 작성된 글 입니다. ) 등록 순서 ◎ 표시는 필수적으로 작성되는 부분입니다. 1. DB 드라이버를 등록 ◎ 2. DB 연결 ◎ 2-1. SQL 문장 제작 ◎ 2-2. SQL 문장을 DB로 전송 ◎ 2-3. 입력값이 있는 경우에 값을 채움 2-4. SQL 문장 실행 요청 ◎ 2-5. 결과값을 VO에 담는다 ◎ 3. DB 닫기 ◎ 1. 오라클을 연결해주는 드라이버를 등록한다. ◎ [오라클]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MySQL] com.mysql.cj.jdbc.Driver 드라이버는 Class.forName(드라이버 자리) 이렇게 생성해주면 ..

Oracle 2022.08.10

[DB/오라클] ( CREATE, ALTER, DROP ) DDL 데이터 정의어 총정리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는 테이블의 구조를 만드는 '정의어'이다. CREATE, ALTER, DROP 문이 정의어에 해당된다. 자세히 알아보자. ALTER : 수정 * 테이블의 속성과 속성에 관한 제약을 변경하며 * 기본키 및 외래키를 변경할 수 있다. ADD 는 테이블 생성 후에 컬럼을 추가 해야할 경우 사용된다. CREATE문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식 그대로 작성하면 된다. * 컬럼을 추가할 테이블 명을 적고 * ADD 뒤에 추가할 컬럼명, 추가할 컬럼의 데이터형과 제약조건을 적는다. MODIFY는 이미 생성된 컬럼의 데이터형이나 제약조건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 컬럼 데이터형을 NUMBER(10)으로 생성했는데 20자리 이상의 숫자를 입력하면 오류가 뜬다. 이..

Oracle 2022.07.24

[DB/오라클] 제약조건(CONSTRAINT) 총정리 - 기본키 설정 법(primary key)

오라클에서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약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PRIMARY KEY pk : primary key 중복이 없는 데이터로 기본키이다. 중복이 없기 때문에 대표격으로 사용된다. 우리가 많은 사람들 중에서 특정인을 구분할 때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한다. 이름과 나이는 중복 사용이 많아 구분이 어렵지만 주민등록번호는 한 사람만 가지는 고유한 번호이기 때문에 식별에 적합하다. 이처럼 primary key 기본키는 주민등록번호, ID, 게시물 번호처럼 중복되지 않으며 NULL값을 허용하지 않는 고유한 데이터에 설정하는 제약조건이다. CONSTRAINT 제약조건명 PRIMARY KEY(컬럼명) NOT NULL nn : not null NOT NULL로 제약조건을 설정하면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Oracle 2022.07.19

[DB/오라클] 부속 질의 서브쿼리 완벽 정리 (스칼라, 인라인뷰) #15

우리가 데이터를 가져오려고 할 때 보통은 테이블에서 원하는 컬럼을 가져오겠다 라고 선언하지만, 더 복잡한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다. 가령 컬럼에 조건을 주거나 테이블에 조건을 준다면 더 디테일한 질의가 가능하다. 부속 질의 즉 서브쿼리는 조건절 뒤에 SELECT 문을 사용하며, 컬럼 대신 사용하거나 테이블 대신 사용하면서 더욱 복잡한 질의를 가능하게 한다. 서브쿼리는 SELECT 문을 괄호로 묶어서 사용되며 질의가 중첩되어 있다는 의미로 중첩 질의라고도 불린다. 서브쿼리의 종류와 그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단일행 서브쿼리 2. 다중행 서브쿼리 3. 스칼라 서브쿼리 4. 인라인 뷰 1. 단일행 서브쿼리 서브쿼리의 결과 값이 1개이면 단일행 서브쿼리이다. 즉, WHERE 절 뒤에 SELECT절을 사용했..

Oracle 2022.07.11

[DB/오라클] 테이블 생성 시 주의사항 (테이블 작성 방법)

오라클에서 TABLE 생성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TABLE 명 생성 시 주의 사항 1) 알파벳(한글)로 시작한다 테이블 명은 알파벳 또는 한글로 시작할 수 있지만 가급적 알파벳 사용을 권장한다. 테이블 명을 한글로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되도록이면 연습용 테이블로만 사용하자.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만약 sql 소스파일에서 한글이 깨졌다면 ANSI 파일로 다시 저장해주어야 한다. 2)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테이블 명을 애써 소문자로 생성해도 실제 저장되는 형태는 대문자이다. 대문자로 생성했다고 테이블을 검색할 때도 굳이 대문자로 검색하지 않아도 된다. 소문자이던 대문자이던 무조건 대문자로 인식한다. table 과 Table 과 TaBLe 은 모두 똑같이 T..

Oracle 2022.07.10

[DB/오라클] 조인 완벽 정리 ( INNER 조인 OUTER 조인 )

데이터를 불러 올 때 하나의 테이블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합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할 때 사용하는 것이 조인 기능이다. 조인은 오라클에서 사용하는 오라클 조인과 오라클 외에 다른 DBMS에서 사용되는 ANSI 조인으로 사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조인은 여러 개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하나의 테이블을 만드는 과정이다. 1. INNER JOIN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조인으로 각각의 테이블에서 동등한 조건이 있을 때 원하는 컬럼을 가져올 수 있다. 1-1 EQUI JOIN 1-2 NATURAL JOIN 1-3 JOIN ~ USING 2. OUTER JOIN INNER 조인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가로 더 가져올 수 있다. INNER 조인 + @ 2-1 LEFT OUTER JOIN 2-2 ..

Oracle 2022.07.09

[DB/오라클] 오라클 데이터형 (문자형,숫자형,날짜형)

오라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웹에서 사용하려면 자바를 이용해야 한다.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웹에서 바로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오라클에 있는 데이터를 어떻게 자바로 가져올 수 있을까? 우선 오라클의 데이터형과 자바의 데이터형에는 차이가 있다. 때문에 컬럼의 데이터형을 맞춰서 가져오지 않으면 오류가 난다. 오늘은 오라클의 데이터형을 자바로 가져오기 전 오라클 데이터 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다. 1. 오라클의 데이터형 ▷ 문자형 영어 , 한글 등 각국의 언어를 문자열로 저장할 때 사용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문장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형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CHAR 문자형 고정길이 문자 저장 후 남은 공간은 공백으로 채운다. 1~2000byte 크기를 저장할 수 있다. VAR..

Oracle 2022.07.08

[DB/SQL] 오라클 그룹 조건 주는 방법 GROUP BY , HAVING

테이블의 각 열에 대한 계산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 집합 함수이다. 그리고 특정 그룹에 대한 연산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 GROUP BY이다. 그룹에 조건을 줄 때는 WHERE절이 아닌, HAVING절을 이용한다. 1. 집합 함수 집합 함수는 테이블의 각 열에 대한 계산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COUNT 행의 개수를 반환한다. * 테이블 전체 행의 개수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하기도 하고, * 집합의 개수, * 조건절의 개수 등 원하는 행의 개수를 확인 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MAX 컬럼의 최대값을 반환한다. * 페이징 기법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마지막 값에서 +1 을 하면 자동으로 값을 증가 시킬 수 있다. SQUENCE의 대체 방법으로 사용된다. MIN 컬럼의 최소값을 반환한다. ..

Oracle 202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