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17

[DB/오라클] TRIGGER 데이터 자동 변경/갱신 트리거

오라클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 테이블이 변경되었을 때 연관된 다른 테이블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주는 기능이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 끼리 관계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하나의 테이블이 변동 됐다면 관계가 맺어진 다른 테이블도 수정이 되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능이 바로 TRIGGER이다. 1. 트리거 (TRIGGER) 트리거란 특정한 동작에 반응해 자동으로 필요한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고 테이블에서 물품이 입고 되었다면 -> 재고 테이블의 재고 수량도 자동으로 늘어나게 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 SELECT 에서는 사용불가) 웹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뉴 클릭,..

Oracle 2022.07.03

[DB/오라클] INSERT INTO 직접 만든 테이블에 테이터 삽입하기

지난 글에서 store 클래스와 fruit 클래스를 직접 만들어 보았다. 이제 만들어진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해보자! * 과일 가게 테이블의 생성 과정은 아래 포스팅 내용과 같습니다 * 2022.06.30 - [DB/오라클] - [DB/오라클] CREATE TABLE 같이 테이블 생성해 보아요 (primary key, foreign key, check) [DB/오라클] CREATE TABLE 같이 테이블 생성해 보아요 (primary key, foreign key, check) SQL 문장을 배우기 시작한지 2주 정도 됐다. 제공되는 예제 테이블로 연습하다가 직접 테이블을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CREATE 문장을 통해 TABLE 생성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테이블을 직 codingwone.tis..

Oracle 2022.07.01

[DB/오라클] CREATE TABLE 같이 테이블 생성해 보아요 (primary key, foreign key, check)

SQL 문장을 배우기 시작한지 2주 정도 됐다. 제공되는 예제 테이블로 연습하다가 직접 테이블을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CREATE 문장을 통해 TABLE 생성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테이블을 직접 만드는게 공부에 큰 도움이 되는 이유 중 하나가 다양한 요소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본키, 참조키, 각종 데이터형의 이해가 필요한 작업이다. 테이블 생성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기본키 생성이다. 우리가 회원가입을 할 때 id 중복체크를 하는 이유는 특정 개인에게만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기 위해서인데 이는 전 국민의 주민번호가 다르며, 중복되지 않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테이블도 결국은 데이터의 집합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대표할만한 기본키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기본키의 역할과 문법을 중점..

Oracle 2022.06.30

[DB/오라클] (단일행 함수) 문자 함수, 숫자 함수, 날짜 함수, 변환 함수, 기타 함수

JAVA를 공부하다가 오라클로 넘어오니 비교적 쉽게 느껴진다. 근데 그것도 잠시 뿐이라고.. 오라클 문장은 한도끝도 없이 길어지는 특징을 가진다고 한다. 모든 학문이 그렇듯 기본을 탄탄히 해놔야 할 것 같다. 오라클에서도 함수를 사용하는데 자체 내에서 사용 가능한 내장 함수가 있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사용자 정의 함수가 있다. 오늘은 내장 함수를 중심적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함수 처리 결과에 따라서도 구분되는데, 한줄로 처리되면 : 단일행 함수라 하고 여러줄로 처리되면 : 다중행 함수라고 한다. (집합함수) 아래에서 소개되는 함수는 단일행 함수이다. 함수 FUNCION 은 오라클(SQL문)에서 주로 SELECT 또는 WHERE 문장 뒤에서 활용된다. 1. 문자 함수 1) LENGTH : 문자의 수를..

Oracle 2022.06.24

데이터베이스_SQL_SELECT 문장 총정리 (WHERE, ORDER BY, 연산자)

나는 지금 자바 기반 웹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있다. 데이터를 가져올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장은 SELECT 문장 이라고 한다. 70%는 SELECT 문장이라고 하니 정확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 될 것 같다. 1. SELECT ~ FROM ~ SELECT문은 데이터를 읽어 올 때 사용된다.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 은 생략이 불가능한 필수 값이다. 즉, 가져오고자 하는 속성과 속성의 테이블은 꼭 입력해야 한다. 예제1) emp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출력하세요. 답) SELECT * FROM emp * : 모든 속성(컬럼)을 출력한다. 예제2) emp 테이블에서 이름 ename과 사번 empno을 출력하세요. 답) SELECT ename,empno FROM emp 2. WHERE WHE..

Oracle 2022.06.21

데이터베이스_SQL_DDL, DML, DCL 질의어

DBMS 환경에서는 SQL 문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한다.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고 제어하는 다양한 언어를 알아보도록 하자. DML (데이터 조작어) DB를 정의하거나 정의를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검색 : SELECT 추가 : INSERT 수정 : UPDATE 삭제 : DELETE 병합 : MERGE DDL (데이터 정의언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조작어가 많다. 1. 생성 - 데이터 저장공간 : TABLE - 가상 저장 공간 : VIEW - 자동 증가 : SEQUENCE -함수 : PL/SQL(FUNCITON, PROCEDURE(통합댓글) 2. 변경 : ALTER * 추가 : ADD * 삭제 : DROP (부분) *수정 : MODIFY 3. 전..

Oracle 2022.06.17

데이터베이스_DBMS 정의와 장단점

[ D B M S 란 ] 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트베이스 관리 시스템 방대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수정 삭제 추가 검색 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 D B M S 종류 ] DBMS 제품의 종류는 수백 가지가 넘는데 주로 사용되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 오라클 * MySQL * Microsoft SQL Server * PostgreSQL * MongoDB * IBM DB2 [ D B M S 의 장 점 ] 1. 중복의 최소화 2. 데이터 공용 3. 보안유지 4. 백업 제공 [ D B M S 의 단 점 ] 운영비 증대 대표적으로 오라클, MYSQL 등 서비스 비용이 만만치 않다. 또한 고성능 하드웨어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영비가 증대된다.

Oracle 2022.06.17